본문 바로가기

3분 정보

전국에서 인구 유출이 가장 빠른 도시 TOP3

반응형

수도권의 인구가 전체의 50%에 육박하는 지금,
지방 대도시의 인구 감소는 지방 쇠퇴의 또 다른 위험 신호가 되고 있습니다.

7대 광역시 가운데 유일하게 인천만 인구가 늘어났으며,
서울을 뺀 지방 대도시는 오랫동안 인구 감소 흐름이 지속되고 있어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전국에서 인구 유출이 가장 빠른 도시 TOP3>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위 대구

대구는 서울과 부산 다음으로 가장 큰 도시로,
우리나라 3대 도시라고 불렸습니다.

영남 거점 도시이기 때문에 영향력이 굉장히 컸는데요.
대구 인구 250만명이라는 말이 통용될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현재 대구는 인구 250만명선이 붕괴돼
243만명 대에 들어섰다고 하는데요.


몇 년째 계속해서 인구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240만명선도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미 대구는 인구만 따지고 보면
인천보다도 적어 4대 도시로 밀려난 상태라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대구 인구유출의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유 중 하나는 일자리 부족입니다.
작년 7월 기준 대구의 고용률은 58.3%라고 하는데요,


이 때문에 대구의 순인구유출의 절반 이상을
20대 청년층이 차지하며 더 심각한 문제를 빚고 있습니다.

대구의 고용률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은 수치이며
전국 평균보다 3.2%가량 낮다고 하는데요.

일자리가 부족한 것은 물론, 일자리의 질도 하락하며
취업자 수는 줄고 실업자 수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저임금 문제도 심각하여
대구의 아르바이트 공고 평균 시급은
8,537원으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으며
이는 서울의 평균 시급인 9,020원보다
483원이나 낮은 금액
이라고 하는데요,

주 5일 8시간씩 일을 한다고 가정했을 때
대구와 서울은 약 10만원가량의 임금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현 상황에서 대구시의 인구증가 목표 달성은
힘들 것으로 보이는데요,


청년들의 인구유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구시는 청년 일자리 디딤돌 사업, YES 매칭 등의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기업체의 조직문화와 사회의 보수성 탈피를 통해 많은 청넌이
대구에 대한 인식을 바뀔 수 있게 해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자체뿐만이 아닌 지역 기업과 시민들이 다함께
청년 유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써야 할 것 같네요.

2위 경북

경북은 1982
무려 317만 6천 591명의 인구수로 정점을 찍었었습니다.

인구는 곧 지역 경쟁력과 직결되기 때문에
한때 경북은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도시로 평가받았는데요.

하지만 현재는 심각한 인구유출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경북은 인구 정점을 찍은 이후로
37년간 인구 내림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경북의 인구는 1만 4000여명이 줄었는데,
이는 지난 2019년 한 해동안 줄어든 인구수보다
많은 수여서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하루에 25명꼴로 경북을 떠나고 있는 셈이라고 하는데요,
'경북 제 2도시'인 구미시 또한
2년만에 인구가 42만명 아래로 감소했습니다.

특히 청년유출이 많아 이에 따른 고령화가 심각하여
작년말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20.6%를 차지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는데요,

경북은 현재 초고령화, 탈경북, 저출산으로 인해
트리플 악재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경북의 소멸위험 지수는
전남에 이어 두 번째로 심각한 단계에 도달했다고 합니다.

이 같은 위기 상황에 경북 또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데요.

최근, 전국적으로 소멸위험에 놓인 지자체가
협의회를 구성해 대응에 나섰다고 합니다.

이에따라 아동보육, 청년창업지원 등 다양한 인구증가 시책을 펴고
출산장려금도 대폭 올려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대구대 교수는 청년세대의
결혼, 출산을 장려하는 방식으로는 큰 효과가 없을 것이라며
인구의 사회적 증가를 위해선 도시의 자족기능 강화가 필요하며
경북에 적합한 신산업을 발굴해
양질의 일자리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는데요.

한 도시의 소멸문제는 전국적인 문제인만큼
국가 또한 많은 힘을 보태야할 것 같습니다.

1위 부산

대한민국 제2 도시이자 해양수도인 부산.
과거 이승만 정부때는 부산으로 수도를 옮기기도 했었는데요.

부산은 안정적인 도시 성장 기반 아래로 바다와 항만을 내세워
동북아 해양수도로 발전하겠다는
도시 비전이 있을 정도로 성장했던 도시였습니다.

하지만 부산은 지금 인구 재앙에 직면해
인구 유출 최악의 도시로 뽑히고 있습니다.


한때 인구 400만명을 넘봤던 부산은 이제
300만명 붕괴를 걱정할 처지에 놓여있다는데요.

14개 시·도 중 인구 유출이 최다인 도시라고 합니다.

역시나 가장 큰 문제는
청년 유출과 유소년, 생산가능 인구가 줄어들었다는 것인데요.

결혼 적령기인 청년이 부산을 떠난다는 것은 단순 인구 감소를 넘어
출생아 수 감소에 따른 도시 경쟁력 저하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이미 2018년도에 부산은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앞질러 인구 자연 감소지역이 되었습니다.


반면에 2003년에 특·광역시 중 처음으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인구 유출문제가 계속된다면
2040년도에 총인구에서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37.1%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상황이 이렇다 보니 향후 50년간 부산의 인구 감소 속도는
전국에서 가장 빠를 것으로 예측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계속해서 젊은층이 부산을 떠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인구유출의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양질의 일자리 필요와 내집 마련입니다.

부산 젊은층의 40퍼센트는 경남으로,
20퍼센트는 수도권으로 향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부산의 집 값이 높아 좀 더 집 값이 저렴한 양산을 택해 떠나거나,
높은 임금과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난다고 합니다.


결국 더 나은 일자리와 주거, 교육환경을 찾아 떠나는 것인데요,

이러한 상황에 대처할 방안으로 전문가들은
높은 임금과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기업을 유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제시했습니다.

특히 기업유치에 대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단순 부지 제공을 넘어 인프라와 인력 수급에 대한 내용까지
포괄할 수 있는 지자체의 노력과 역량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더 늦기 전에, 인구 유출을 막기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전국적으로 출산 저하와
임금문제, 내집마련 문제가 심각
한 것 같은데요.

그나마 상황이 나은 수도권으로 몰릴 수 밖에 없는
쏠림현상이 계속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한 도시의 문제가 아닌 국가의 전반적인 문제로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인 것 같네요.

반응형